티스토리 뷰

1. split

데이터를 자르는 용도

ex) split -d -a 3 -l 10000 /usr/share/dict/words

/usr/share/dict/words 에는 총 99171개의 단어가 존재한다.

이를 10000개 단위로 잘랐더니 x000 ~ x009 에 저장되었다.

이 파일들이 궁금해서 x000을 열어보았는데 A부터 총 10000개의 단어가 한 줄에 하나씩 있다.

위 실습결과를 지우고 이번에는 5000개씩으로 잘라보았다.

x에 붙는 숫자들이 10진수인지 16진수인지 궁금해서 실험해보았는데, 10진수이다.

 

2. head

스트림의 첫 부분만 출력. 디폴트 10라인

* 전체 다 출력하려면 cat / tac

cat tac

 

정방향으로 내용을 전체 출력.

역방향으로 내용을 전체 출력.

 

 

 

3. tail

스트림의 끝 부분만 출력. 디폴트 10라인

-f : following. 추가되는 스트림을 계속 출력. 로그 파일 분석시 사용한다.

 

4. paste column 단위로 붙이기  vs  두 파일을 비교하기 위해서는 vi -d f1 f2

두 명령의 비교를 위해서 redirection을 이용해서 테스트 파일 f1, f2를 만들었다.

paste와 vi -d는 다른 기능이지만, 비슷한 모양새가 있어 한 번 비교해보았다.

paste f1.txt f2.txt vi -d f1.txt f2.txt

그리고 또 다른 redirection을 이용한 paste함수 예제. k, m, g는 키로, 메가, 기가를 의미.

free 명령어를 처음 사용하였다. 매뉴얼 확인. 시스템의 남은 용량과 사용된 용량 등을 보여줌.

 

메모리 기준 옵션은 바이트, 테라도 더 있다. 이외에도 다른 옵션이 더 있으니 매뉴얼 참고.

실행결과는 아래와 같다.

 

댓글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Total
Today
Yesterday
링크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글 보관함