프로그래밍/Python
프로그래머스_코딩테스트연습_124나라의 숫자
donie
2020. 9. 24. 06:32
1. 문제
2. 소스코드
def calc(r, answer): if r==0 : answer = '1' + answer elif r==1 : answer = '2' + answer else : answer = '4' + answer #print('answer: ' , answer) return answer def solution(n): answer = '' q, r = divmod(n-1, 3) #(n-1)/3의 몫, 나머지 #print('q, r = ', q, ' ', r) while q != 0 : #몫=0이면 종료 #print('q, r = ', q, ' ', r) answer = calc(r, answer) q, r = divmod(q-1, 3) answer = calc(r, answer) #print('최종 answer: ' , answer) return answer |
3. 고찰
1) 파이썬 나눗셈 a ÷ b = c (몫) ··· d (나머지)이라 할 때,
c = a//b
d = a%b
c, d = divmod(a,b)
이렇게 구할 수 있다.
* a/b은 일반적인 나눗셈이다. ( ex. 5/2=2.5 )
2) 문자열을 합칠 때 + 기호를 사용한다.
3) calc함수는 나머지에 따라 answer의 값을 정해주는 함수이다.
이때, answer를 리턴해주지 않아도 매개변수인 answer의 값이 변하는지 해보았는데, 값이 변하지 않았다. (c++에서는 call-by-value의 개념)
python에는 mutable, immutable 속성이 있다.
이 속성은 자료형에 따라 결정된다.
mutable : 리스트, 딕셔너리
immutable : 숫자형, 문자열, 튜플